독개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 차이 , 이식성 정의

by #독개#

컴파일러

컴파일 언어는

 

c , c++ 처럼 언어로 작성되어서 컴파일

 

코드를 -> 어셈블리어 -> 기계어로 변경시켜 exe파일을 만들어내는 것

 

 

인터프리터

 

번역기로 번역해서 CPU로 전달해서 실행하는 '번역기'

 

파이썬,AHK,C#등이 있다.

 

AHK는 Autohotkey.exe파일이 여기에 해당한다

 

CPU,메모리에 올라가 있는 정보를 인터프리터를 분석해서 번역을 반대로 하면 코드가 나온다.

 

그래서 보안에 아주 취약하다

 

이식성

 

일단 컴파일러를 사용하는 언어 같은 경우에는 이식성이 안좋다.

 

즉 윈도우즈에서는 작동하는데 리눅스에는 작동안하는 이런 단점이 존재한다.

 

이식성이 좋은 언어들이 있다. 자바를 예로들면 한코드를 작성해두고 컴파일하면

 

윈도우, 리눅스 둘다 작동가능하다

 

이런 것을 이식성(Portability)라고 부른다.

 

 

 

 

🐱‍👓독하게 개발

블로그의 정보

독한 개발자

#독개#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