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개

#따배씨 1.1 프로그램의 구조

by #독개#

프로그램의 구조

 

우리가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exe파일을 실행한다 라는 개념은

 

바로 컴퓨터 cpu에 명령을 주는게 아니라 Operating System(운영체제 windows, macOS, lunux, ios, android..)에게

 

요청 하는 것이다

 

그러면 cpu와 메모리를 통해서 실행시킨다

memory 에는 코드등을 저장해두고
cpu 에서는 실제적인 연산을 한다

굉장히 중요한 개념이다

 

Main함수

 

main 함수의 이름인 main을 뭐 설정들어가서 바꿔서 쓰는 사람들도 있지만 사실 아무도 그렇게 하지 않는다


Operating System은 exe파일의 코드에서 main함수를 찾는다

 

기능을 갖는 프로그램을 만들면 main함수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코드에서 모든 빈칸이나 빈줄은 컴파일러가 무시한다

 

#include <iostream>
//iostream : input outpun stream
//# : preprocessor directive (전처리기)
//표준라이브러리 개발도구 설치하면 같이 설치되거나 윈도우자체적으로 있는 이런걸 의미한다

int main(void) //mian()해도 똑같다 void : 비어있다
{
    int x; //int형 데이터 메모리 x라는 이름의 공간에 담아둘거에요 공간을 할당받는거
    x = 5;
    int y = x + 3;

    std::cout << y;
    std::cout << 1+2;
    std::cout << "한글" << std::endl; // y값이후 줄바꿈 까지 해줌
    std::cout << y;
    
    
    
    // 5, 3 이런 것을 literal이라 부른다
    // x, y 이런 것은 변수라 부른다

    return 0; //함수 결과값을 0 반환해줌

}

 

Statement(명령문)

;으로 문장을 끝낸것은 statement라고 부른다

 

우리가 한글에서 문장이 끝나면 . 을 붙이는데 언어에선 ; 을 붙인다

 

문장을 마치면 반드시 ; (semicolon)을 붙여줘야 한다

 

ex) return 0 ;     /// return statement

 

Expression(표현식)

 

; 가 없는 상태에서 문장의 구성요소가 되는것

 

ex)

return (1+x)*5 ;

여기서 expresstion 은

(1+x)

(1x)*5

 

 

 

 


🐱‍👓독하게 개발

 

 

 

 

 

 

블로그의 정보

독한 개발자

#독개#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