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개

함수/변수명 잘 짓는 방법 #2

by #독개#

프로그램은 사람들에게 읽히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져야 하고,

우연히 컴퓨터가 실행할 수 있다면 더욱 좋다

 

 

1. 동사

동사의 원형

딱 이 세가지 경우에만 동사 원형쓰자

과거형

과거형은 쓸일이 없다 무시

과거형 써야 할때는 did를 써서 쓴다 didComplete 이런식

 

과거분사

과거분사는 형용사라고 생각하면 된다

명사를 꾸밀때 써주면 되는데 의미는 수동의 의미

requested 요청된

 

 

명사와 같은 동사

이런경우 좀 주의해야함

 

 


Bool

is+동사 를 사용할때 해석하기 굉장히 어려워진다

isDelete(X) -> isDeleted(O)

 

뭘써도 상관없으나 공식은 isHidden 인가본데 근데 이게 진짜 차이가 많다

좀 원하는걸로 써도 될듯 하다

 

if(found)

if(isFound)


 

2. 단수와 복수

하나의 변수는 단수

Array , List 같은건 복수를 쓴다 명확히 하자

복수는 사전을 찾아보고 정확히 쓰자 무조건 +s 아니잖아 ㅋㅋ

data는 data자체가 복수형이다

 


3. Url, Image, Size, Date, Data

무조건 뒤에 키워드를 다붙여 준다. 이건 공식임


 


4. ID vs Id vs Identifier

id와 Id는 쓰지 않는다

identifier(식별자)라고 쓰던지 ID라고 쓰던지

 

 


5. 중복 제거

 


6. 메서드, 함수 정의

메서드는 워낙 광범위하게 지을수 있으니까 통일해서 뭔가 이렇게 하자 이런건 힘들다

많이 쓰는 단어는 명확하게 쓰자

 

 

Fetch

Play fetch : 강아지에게 물어와 하면 바로 물어오는 공놀이의 를 말함

fetch 는 그냥 물어와 툭 ~

함수의 리턴값으로 그결과값을 보내줌

 

Request

request 성공할수도 있고 실패할수도 있는 경우

결과값을 받아올수도있고 못받아올수도 있는경우

 

 

execute / perform

 

request받은걸 실행하거나 뭔가 감싸져있는걸 실행할때

 

 

7. 마무리

  • 표준 라이브러리 및 프레임워크 읽어보기
  • 동의어 사전 애용 http://www.thesaurus.com
  • 너무 영어에 얽매이지 말고 읽는 사람이 읽을때 바로 알아보게

8. 참고

https://www.youtube.com/watch?v=rbSnkiqPnJI&list=WL&index=3&t=102s 


 

블로그의 정보

독한 개발자

#독개#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