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려진 취약점사용 (CVE , Exploit-db)
by #독개#알려진 취약점사용
▶이미 알려진 취약점을 사용하는 방법 (가장 간단하면서 잘먹히는 해킹기술)
▶결국 최신 버전을 사용하지 않기때문에 발생
▶CVE / Expoit-DB 에서 정보를 얻는다.
특징 |
- OWASP TOP 10 - WEB 2013 9위 신규등록 - 특정 버전에 특정 취약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최신 보안패치 미적용 시 언제든지 공격 가능 - 이미 다양한 대상의 취약점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곳이 많음 |
영향 |
- 모든 종류의 취약점들이 가능함(해당 버전에 존재하는 취약점) |
원인 |
- 최신 버전의 업데이트를 설치하지 않고 취약점이 발견된 구 버전을 계속 사용 하는 것 - 다양한 오픈소스(zeroboard, XE, gnuboard)등의 최신 버전이 아닌 취약점이 존재하는 구 버전을 사용함으로서 발생 |
POINT |
- 알려진 취약점(1-day)이기 때문에 0-day와는 다름 - 지속적으로 다양한 취약점이 발표됨으로 항상 사용중인 컴포넌트, 서비스, 프로그램들에 대한 지속적인 유지 관리가 필요 |
보안방법 : 최신버전을 사용하자
Exlpoit-DB
D : 스크립트를 text파일로 받을수 있다
A : 공격해볼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지
V : 이취약점이 해결되면 체크표시 / 아직 미해결 중이면 X
'🧛♂️ 해킹 > 웹해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해킹실습 WizMall (0) | 2020.07.31 |
---|---|
민감한 데이터 노출 (0) | 2020.07.31 |
CSRF(크로스 사이트 요청 변조) (0) | 2020.07.31 |
SQL Map (상용툴) (0) | 2020.07.30 |
취약한 직접 객체 참조 (파일업로드,리버스텔넷) (0) | 2020.07.29 |
블로그의 정보
독한 개발자
#독개#